김가영
- 직급
- 조교수
- 전화
- 033-760-8833
- 메일
- kykim@gwnu.ac.kr
- 연구분야
- 공중관계(PR), 전략커뮤니케이션, 미디어테크놀로지
- 학력
- 고려대학교 신문방송학 학사, 미디어학 박사
세부내용
주요 경력
2025.2-2025.8 고려대학교 BK21미디어학교육연구단 연구교수
2024.3-2025.2 고려대학교 BK21미디어학교육연구단 박사후연구원
2004.12-2017.11 삼성물산 리조트사업부문 담당과장 (PR, 조직커뮤니케이션 등)
연구 용역
- 2022.1-2022.12 질병관리청 캠페인 전략 수립 및 실시
- 2025.7-2025.12 한국저작권보호원 저작권보호 캠페인 홍보 성과 평가 측정모델 개발 및 성과측정 연구 용역
주요 논문
- Kim, Y. E., Kim, K., Hwang, Y., & Jeong, S. H. (2025). Media Attributions and Public's Responses to Russia–Ukraine War: The Role of Emotions Toward Nation and Individuals. Social Science Quarterly, 106(2), e13497.
- Kim, K., & Lee, S. K. (2023). From Organizational Gossip to a Corporate Crisis: A Network Analysis of Anonymous Online Communication on the Blind Application. International Journal of Business Communication, 0(0), online first. doi:10.1177/23294884231217084
- Hwang, Y., Shin, H., Kim, K., & Jeong, S.-H. (2023). The Effect of Augmented Reality and Privacy Priming in a Fashion-Related App: An Application of Technology Acceptance Model. CyberPsychology, Behavior & Social Networking, 26(3), 214–220. doi:10.1089/cyber.2022.0071
- 윤재우, 윤영민, 김가영*(2025). 참여형CSR에서 지각된 진정성이 소셜미디어 이용자의 참여 의도에 미치는 영향: 참여 동기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. <PR연구>. 29권2호.
- 김예지, 김가영, 정세훈(2025). 온라인 맞춤형 광고가 행동 의도에 미치는 효과: 정보성, 유용성, 신뢰성의 매개 효과 및 온라인 맞춤형 광고 지식의 조절 효과. <광고연구>, 144호, 251-281.
- 정민화, 김가영, 정세훈(2025). 기후변화 관련 미디어 귀인이 공중의 책임 판단 및 정책 의견에 미치는 영향. <한국소통학보>, 24권1호, 53-88.
- 김가영, 이철주, 정세훈(2024). 심뇌혈관 질환 예방 캠페인에서 연령 맞춤형 모델의 설득 효과: 내러티브몰입과 관여도를 중심으로. <헬스커뮤니케이션연구>, 23권3호, 1-30.
- 김가영, 윤영민(2022). 이질적 조건의 토론장이 정치적 양극화를 완화할 수 있을까: 이질적· 동질적 조건의 온라인 토론장에서의 상호작용의 동질성, 표현의 적대성, 정파성높은 매체의 인용에 관한 내용분석. <한국언론정보학보>, 111호, 75–108
- 김가영, 강경필, 손민지, 이청아, 홍신범, 김성태(2020). 북한 뉴스 담론에 대한 미디어 의제설정효과 연구: 빅데이터 토픽모델링과 워드임베딩분석을 중심으로. <평화연구>, 28권1호, 287–332.